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58건
,
152
/
392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203
[칼럼] 석유 대란과 국가이기주의
위치 확인
[최기련, 에너지시스템학과 명예교수] 지난 4월은 150년 석유산업 역사상 가장 극심한 유가변동을 겪은 시기다. 지난달 20일 뉴욕선물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가격은 배럴당 -37.63달러를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세계 각국의 경제가 멈춰 서면서 석유 수요가 급감했고 그 결과 누구도 실물 석유를 인수하지 않으려 들면서 사상 초유의 마이너스 유가가 나타난 것이다. 유가는 지난달 25일에도 24.6%나 폭락했다. 유가 급락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수요 급감과 공급 과잉의 지속 그리고 과잉 생산에 따른 저장용량 부족이라는 3가지 요인이 결합하면서 나타난 결과다. 특히 수요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사회 봉쇄와 접촉 금지로 올 들어 약 30%나 줄었다. 그러나 공급은 기술적 요인들과 산유국의 재정적 필요성 등으로 금방 줄어들 수 없는 구조다. 대폭락의 불씨가 됐던 3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간 감산 합의 불발이 대표적이다. (하략) https://www.sedaily.com/NewsVIew/1Z2MUDMQXC
1202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5-06
5876
동영상
동영상
최기련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201
[칼럼] 누구나 애창했던 국민 가요… 대전역 노래비에 가수 이름 안 새겨
위치 확인
[주철환 교수, 문화콘텐츠학과] 조용필 ‘대전 블루스’ ‘하동 프린스’ 정동원은 중학교 1학년이다. 내가 그 나이였을 때 같은 반에 영달이라는 곱상한 친구가 있었다. 학급 당 70명 가깝던 시절이고, 각자에게 번호가 있었는데 나랑 그 친구는 둘 다 20번 언저리에 있었다. 이게 무슨 의미냐 하면 우린 키가 비슷했다는 사실이다. 개학날 키 순서로 학생들의 번호를 정해주던 시절 얘기다. 영달이네 집에 놀러갔는데 가난한 소년의 눈엔 한마디로 ‘차이 나는 클라스’였다. 거실에 야자수와 피아노가 있고 가수들 사진도 보였다. “아버지가 뭐 하시는 분이니?” LP 판이 턴테이블에서 빙글빙글 돌기 시작하더니 애절한 가락이 스피커에서 뿜어져 나왔다. ‘잘 있거라 나는 간다/이별의 말도 없이/떠나가는 새벽열차/ 대전발 영시 오십분’. 이 노래를 작곡한 김부해 선생이 영달의 부친이다. 노래 제목은 ‘대전발 영시 오십분’이 아니라 ‘대전 블루스’다. ‘미스터트롯’ 조영수 마스터가 최종 7인에 들지 않은 출연자와 계약을 해 궁금증을 자아냈는데 그가 바로 ‘대전 블루스’를 열창한 국악인 출신 강태관이다. (하략)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42401031712000001
1200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4-27
5989
동영상
동영상
주철환교수.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199
[칼럼] 코로나로 일상이 된 재택근무…조직자율성 높일 절호의 기회
위치 확인
[김경일 교수, 심리학과]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일상이 됐다. 이건 단순한 기업 조직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학교와 같은 교육 분야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하다. 물론 상당 부분 자의로 시작한 것은 아니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정착됐다는 느낌마저 받고 있다. 그러다 보니 조직 관리자들과 학교 교사들은 이러한 재택근무와 학습을 바라보는 심경이 많이 복잡할 것이다. `도대체 제대로 하고 있을까` 혹은 `관리와 감시가 없어도 괜찮을까` 등 말이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조직을 자율적 조직으로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는 역설적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자율적 조직은 평상시보다 변화의 격랑을 만났을 때 더 강한 적응력과 탄력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팬데믹 시대도 당연히 거기에 포함된다. 자율적 조직은 평상시에는 다소 느슨해 보이지만 의외로 리더의 머릿속에서도 그려져 있지 않았던 협동을 그것도 능동적으로 만들어 낸다. 2차 대전 당시 군기가 강했던 일본군과 독일군은 평상시 매우 절도 있고 긴밀하게 움직이는 것 같아 보였다. 당연히 지휘관 입장에서 보면 흡족한 군대다. 하지만 그들 눈에는 보이스카우트 소년들이라는 비아냥거리에 불과했던 이른바 `군기 빠진` 미군의 강점은 의외로 돌발 변수가 발생했을 때였다. 독일군과 일본군 심지어 영국군조차도 가장 큰 고민거리가 바로 병과와 병종이 서로 전혀 협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해군이 한 일을 육군이 모르고, 보병이 하는 일을 기갑부대는 나 몰라라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했다. 하지만 미군은 그렇지 않았다. 상륙 시에 해병대나 보병이 쓰러지면 의무병도 아닌 공병까지 나서 부상병들을 구출했다. 그 공병이 적탄에 쓰러지면 보병들이 잠시 소총을 놓고 가교나 부교를 놓는 일을 같이했다. 자기의 직속 지휘관만 쳐다보고 그들로부터만 명령을 받아 철저히 수행하는 이른바 수직적 경직성이 평소에 덜했기에 유사시에 옆의 다른 병과들과 순간적인 협동이 가능했던 것이다. 당연히 군기만을 강조했던 다른 나라 군대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던 모습이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4/421313/
1198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4-23
6023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197
[칼럼] 가요 3500곡 작사한 정두수… 과거에서 현재로 부활하는 그의 노래들
위치 확인
[주철환 교수, 문화콘텐츠학과] 정동원 ‘가슴 아프게’ 초창기 뮤직비디오들은 순박함으로 정겨웠다. 가사 흐름에 충실해야 노래방에서 환영받던 시절이다. ‘물레방아 도는데’(1972·나훈아) 화면엔 물레방아가 돌담길, 징검다리 너머로 꽤 오래 등장했다. 그래야 성의 있다고 느꼈다. 같은 해에 히트한 노래 한 곡을 더 불러내자. ‘쌍돛대 임을 싣고 포구로 들고/섬진강 맑은 물에 물새가 운다/쌍계사 쇠북소리 은은히 울 때/노을 진 물결 위에 꽃잎이 진다’(하춘화 ‘하동포구 아가씨’ 중). 영상을 의뢰받은 감독의 난감한 표정이 어른거린다. 리얼리즘에 기반을 둔 스토리보드라면 2절은 그야말로 점입가경이기 때문이다. ‘흐르는 저 구름을 머리에 이고/지리산 낙락장송 노을에 탄다’. 하모니가 있는 곳이면 어디나 음악동네지만 지도상에 실존하는 노래마을도 여럿 있다. 요즘 경남 하동은 무대에 설 때마다 “하동에서 온 정동원”이라고 소개하는 ‘트로트 왕세자’의 애향심 덕분에 빛을 발한다. 그런데 훨씬 전에 고향을 널리 알린 음악인이 있다. 작사가 정두수(1937∼2016)다. ‘가요무대’를 시청할 때, 혹은 노래방에서 트로트를 애창할 때 ‘정두수 작사·박춘석 작곡’, 이런 조합을 본 기억이 어렴풋이 날 것이다. 앞에서 말한 두 곡 외에도 ‘흑산도 아가씨’ ‘우수’ ‘마포종점’ ‘그리움은 가슴마다’ ‘가슴 아프게’ ‘한번 준 마음인데’ ‘공항의 이별’ ‘삼백리 한려수도’ 등이 모두 두 예술가의 합작품이다. 정두수는 무려 3500곡을 작사했고 하동 포구공원에는 ‘하동포구 아가씨’ 노래비도 세워져 있다. (하략)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41701031812000001
1196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4-20
6171
동영상
동영상
첨부파일
첨부파일 (1)
첨부파일
주철환교수.gif
전체다운
팝업 닫기
주철환교수.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195
[칼럼] 이 맑은 하늘, 모두 중국 덕분인가
위치 확인
[김순태 교수, 환경안전공학과] 최근 환경부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되었던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국 초미세먼지 농도가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27% 정도 감소한 것으로 발표하였다. 일부에서는 그 이유로서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의 공장 가동 축소를 지목하고 있다. 실제 여러 상황을 짚어보면 중국 영향이 있었지만, 국내 배출량이 줄어서인 영향도 적지 않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먼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중국 전역의 농도는 전년 대비 10%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와 가까운 지역을 살펴보면, 베이징과 허베이 지역의 경우 농도가 전년 대비 7%가량, 산둥 등 동부 지역에서는 전년 대비 16%가량 감소하였다. 헤이룽장성 등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오히려 약간의 증가세를 보였다. (하략)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937144.html
1194
작성자
홍보***
작성일
2020-04-16
6064
동영상
동영상
김순태교수.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